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PF 위기! 여보 회사 문 닫아야 해. 벼랑끝 건설사

by 포토리얼터 2024. 1. 28.

PF (Project Financing) 위기에 수주는커녕 문 닫을 판

작년 11월 민간수주액 35% 뚝, 공사대금 떼일라 걱정, 발주량 줄고 수익성 적어 한숨, 경영난에 폐업건수 8년來 최다

요즘 부동산, 특히 건설 경기가 너무 안 좋습니다.

아마 여러분들도 신문이나 뉴스를 통해 PF부실, 위기에 관해 많이들 접해보셨을 것입니다.

예를 한번 보시죠.

1) 연매출 100억 원, 직원 6명을 둔 종합건설업체 A사의 대표는 서울 강서구 약 50실 오피스텔 미분양 여파로 최근 폐업하고 다른 건설사의 현장관리소장으로 취직했다. 그는 "미분양으로 공사가 중단되거나 지연될 경우 공사대금 받는 시기가 미뤄져 회사가 자금난을 겪었다"며 "버티지 못하고 폐업했다"라고 말했습니다.

2) 철근콘크리트공사업 전문건설업체인 B사는 공공공사 수주에 올인하기로 했습니다. 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 여파로

민간공사 하도급의 경우 공사대금을 제때 받지 못할 수 있어서입니다. 다만, 공공공사도 자재비 인상 리스크 역시 적지 않습니다. B사가 지난 2021년 한 지자체와 계약한 시점에 철근가격은 t당 60만 원이었는데, 2022년 2월 착공시점에는 t당 150만 원까지 2배 이상 치솟았습니다. B사 관계자는 "최근 준공시점에선 t당 90만 원 수준이지만 또 언제 가격이 오를지 몰라 불안하다. 공사해도 남는 게 없다"라고 토로했습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알짜라 불리는 강남에서도 PF대출이자가 부담이 돼서 준공을 마친 오피스텔이 통으로 매물로 나왔습니다. 의정부의 오피스텔의 경우는 할인률을 높여 분양을 했지만 단 1개실도 분양을 못했습니다.

이렇듯 중견 건설사들의 프로젝트파이낸싱, 소위 PF위기가 불거지면서 하도급 위주의 영세 건설사들이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습니다. 민간 하도급은 원도급사의 유동성 악화로 공사대금 체불이 우려되고, 공공공 사는 수익성 확보가 쉽지 않습니다. 부동산시장 침체로 민·관공사 수주물량도 감소해 영세 건설사들의 폐업도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25일 대한건설협회의 '월간건설경제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국내 건설수주액은 12조 7,767억 원으로 전년동월(17조 2,000억 원) 대비 26.0% 감소했습니다.

국내 건설수주액 중 공공부문은 4조 1,448억 원으로 전년동월대비 5.2% 늘어난 반면, 민간부문은 8조 6,320억 원으로 전년동월대비 35.4% 급감했습니다. 전체적인 수주물량이 감소한 상황에서 민간공사의 타격이 더 큰 셈입니다.
건설협회 관계자는 "수주실적은 11월에 공공부문은 증가했으나 민간부문이 감소해 하락했다. 2015년 이후 최저 실적"이라며 "신규 착공 위축 영향이 점차 나타나면서 건설투자가 부진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2022년 말 이후 지속된 주거용 건물 신규 수주 및 착공 물량 감소가 시차를 두고 공사 물량 감소로 이어질 전망"이라고 말했습니다.

벼랑 끝 중소형 건설사들

건설업계는 민간공사 발주가 줄어든 상황에서 PF위기까지 고조돼 수주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입을 모았고,. 업계 관계자는 "전국에 공사중단된 현장이 많다. 하도급업체로 참여하는 전문건설업체 중에서도 골조 등 공사 초기 참여업체 보다 준공이 가까워진 시점에서 진행되는 마감공사를 하는 전문건설사들이 대금을 받기 어렵다"며 "공정에서 후반기 작업인 타일, 창호 등 마감재 전문건설업체는 공사대금을 못 받을까 봐 전전긍긍하고 있다"라고 전했습니다.
여기에 엎친데 덮친 격으로 공공공사 발주량도 줄고 있습니다. 조달청 '연도별 공공건축 발주'에 따르면 2022년 113건(2조 9755억 원), 2023년 63건(1조 6065억 원)으로 발주 건수와 금액 모두 크게 꺾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 민간 대비 수익성이 떨어지는 점도 문제입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철근콘크리트공사 공사비 부족 원인진단'에 따르면 SH 25건 신축공사를 분석한 결과 철근콘크리트 공사 평균 하도급률이 105.5%로 조사됐습니다.

하도급률은 원도급 금액 중 하도급 금액의 비율인데, 100%를 넘어선 것은 원도급자가 발주처로부터 받은 공사비보다 초과한 금액을 하도급업체에게 준다는 의미를 말합니다. 공공발주처 공사비 책정액이 실제 대금을 따라가지 못하는 셈이죠.
건설업계는 영세 건설사들의 폐업이 가속화될 것으로 내다봤는데요, 건설산업연구원의 '1월 월간 건설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종합건설기업 폐업 공고 건수는 총 581건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지난 2005년 629건 이후 8년 만에 최다규모입니다.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건설업은 사슬처럼 연결돼 있어 원도급사가 어려우면 영세 건설사들의 경영난은 가중된다"라고 우려했습니다.

반응형